최근 수정 시각 : 2024-04-13 22:33:28

김만기(조선)

김만기(1633)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태조 정종 태종
안천부원군 한경 상산부원군 강윤성 김천서 여흥부원군 민제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청천부원군 심온 화산부원군 권전 여량부원군 송현수 파평부원군 윤번
예종 예종, 성종 성종
청천부원군 한백륜 상당부원군 한명회 함안부원군 윤기견 영원부원군 윤호
연산군 중종
거창부원군 신승선 익창부원군 신수근 파원부원군 윤여필 파산부원군 윤지임
인종 명종 선조
금성부원군 박용 청릉부원군 심강 반성부원군 박응순 연흥부원군 김제남
선조 광해군 인조
해령부원군 김희철 문양부원군 류자신 서평부원군 한준겸 한원부원군 조창원
효종 현종 숙종
신풍부원군 장유 청풍부원군 김우명 광성부원군 김만기 여양부원군 민유중
숙종 경종 영조
경은부원군 김주신 청은부원군 심호 함원부원군 어유구 달성부원군 서종제
영조 정조 순조 헌종
오흥부원군 김한구 청원부원군 김시묵 영안부원군 김조순 영흥부원군 김조근
헌종 철종 고종 순종
익풍부원군 홍재룡 영은부원군 김문근 여성부원군 민치록 여은부원군 민태호
순종
해풍부원군 윤택영
추존
{{{#!wiki style="margin: -16px -11px" 목조(이안사) 익조(이행리) 도조(이춘)
이숙(이공숙) 최기열 안변부원군 박광
환조(이자춘) 덕종(의경세자) 원종(정원군)
영흥백 최한기 서원부원군 한확 능안부원군 구사맹
진종(효장세자) 장조(사도세자) 문조(효명세자)
풍릉부원군 조문명 영풍부원군 홍봉한 풍은부원군 조만영 }}}
조선 왕비 · 조선 추존 왕비 · 대한제국의 국구 }}}}}}}}}
김만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보사공신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680년 6월 14일 숙종에 의해 책록 → 1689년 9월 8일 숙종에 의해 삭제 → 1694년 6월 24일 숙종에 의해 추복
분충효의병기협모보사공신 (1등)
김만기 김석주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분충효의병기보사공신 (2등)
이입신 이사명 김익훈 조태상
신범화
분충효의보사공신 (3등)
남두북 정원로 박빈 이광한
이원성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역대 종묘 배향공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00d45,#94153e> 태조 조준, 의안대군, 이지란,
조인옥, 남재, 이제, 남은
정종 익안대군
태종 하륜, 조영무, 정탁, 이천우, 이래
세종 황희, 최윤덕, 허조, 신개,
이수, 양녕대군, 효령대군
문종 하연
세조 권람, 한확, 한명회
예종 박원형
성종 신숙주, 정창손, 홍응
중종 박원종, 성희안, 류순정, 정광필
인종 홍언필, 김안국
명종 심연원, ■이언적
선조 이준경, ■이황, ■이이
인조 이원익, 신흠, 김류, 이귀,
신경진, 이서, 능원대군
효종 김상헌, ■김집, ■송시열,
인평대군, 민정중, 민유중
현종 정태화, 조경, 김좌명, 김수항, 김만기
숙종 남구만, ■박세채, 윤지완,
최석정, 김석주, 김만중
경종 이유, 민진후
영조 김창집, 최규서, 민진원, 조문명, 김재로
장조 이종성, 민백상
정조 김종수, 유언호, 김조순
순조 이시수, 김재찬, 김이교,
조득영, 남연군, 조만영
문조 남공철, 김로, 조병구
헌종 이상황, 조인영
철종 이헌구, 익평군, 김수근
고종 박규수, 신응조, 이돈우, 민영환
순종 송근수, 이완용, 서정순
: 문묘 배향 18현을 겸하는 6인(동배향)
: 문묘 배향 18현을 겸하는 6인(서배향)
}}}}}}}}}

서인
西人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사림파 [[틀:훈구파|{{{#000,#ddd ▲ 훈구파}}}]]
선조
(1575 ~ 1608)
박순 윤두수 고경명 성혼 심의겸
이이 정철 황윤길 조헌 송상현
광해군 - 인조
(1608 ~ 1649)
오윤겸 신흠 심지원 이경석 정태화
청서 공서
노서 소서
김장생 김상헌 김류 신경진 이귀
김집 이식 김자점 이시백 최명길
효종 - 현종
(1649 ~ 1674)
청서 소서 노서
산당 한당 낙당 원당
송준길 송시열 김육 김자점 원두표
숙종
(1674 ~ 1720)
강경파 온건파
송시열 민유중 김수항 윤증 남구만
김만기 김석주 김만중 박세채 최석정
노론 소론
조선의 붕당
(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노론
老論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서인
숙종
(1674 ~ 1720)
산당 한당
송시열 김수흥 민정중 김수항 김육
민유중 김만기 이세백 김만중 김우명
권상하 이여 이이명 민진원 김석주
경종
(1720 ~ 1724)
김창집 민진원 이건명 이이명 정호
조태채 김용택 윤지술
영조
(1724 ~ 1776)
청명론 (호론) 탕평론 (낙론)
정호 민진원 김재로 정언섭 홍치중
이의현 조도빈 이관명 원경하 홍계희
노론
김상로 홍계희 김한구 이의현 유척기
정조 - 순조
(1776 ~ 1834)
벽파 (청명당) 시파 ( 탕평당) 실학파
( 중상학파)
김종수 심환지 서매수 한용구 홍대용
김귀주 김관주 남공철 정민시 박지원
서용보 김달순 김조순 이조원 박규수
세도 정치
조선의 붕당
(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colbgcolor=#7e2f22><colcolor=#ffd400>
조선 숙종의 장인 | 인경왕후의 부친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 문충공(文忠公)
김만기
金萬基
파일:김만기초상화.jpg
출생 1633년 3월 2일
(음력 인조 11년 1월 23일)
사망 1687년 4월 26일 (향년 54세)
(음력 숙종 13년 3월 15일)
봉호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
시호 문충(文忠)
본관 광산 김씨
영숙(永叔)
서석(瑞石), 정관재(靜觀齋)
부모 부친 - 김익겸(金益兼, 1614 ~ 1637)
모친 - 해평 윤씨(1617 ~ 1689)[1]
형제자매 남동생 - 김만중
부인 서원부부인(西原府夫人) 청주 한씨(? ~ 1720)
자녀 슬하 4남 3녀
장남 - 김진구(金鎭龜, 1651 ~ 1704)
차남 - 김진규(金鎭圭, 1658 ~ 1716)
장녀 - 인경왕후
3남 - 김진서(金鎭瑞, 1663 ~ ?)
차녀 - 김한혜(金漢惠, 1668 ~ ?)
3녀 - 김복혜(金福惠, 1673 ~ ?)
4남 - 김진부(金鎭符, 1676 ~ ?)

1. 개요2. 생애3. 붕당4. 사후5. 저서6. 가족 관계

[clearfix]

1. 개요

조선 효종, 현종, 숙종 문관이자 국구이다.

2. 생애

예학의 대가인 사계 김장생의 증손자이며, 조부는 허주 김반이므로[2] 김집의 종손자이다. 그리고 아버지는 병자호란 때 강화도에서 순절한 김익겸으로 김만기는, 사씨남정기와 구운몽으로 유명한, 서포 김만중의 형이다. 숙부로 대사성, 대제학을 역임한 김익희와 병마절도사를 지내고 김석주와 같이 남인을 숙청 공작을 실행했다가 기사환국 때 죽은 김익훈이 있다. 북헌 김춘택의 조부이기도 하다.[3]

숙종의 첫 번째 왕후인 인경왕후의 아버지로 광성부원군에 올랐고, 숙종의 외숙부이자 공작정치로 유명한 김석주하고도 친인척 관계를 형성했다.[4] 종조부 김집의 제자인 송시열의 문하로 들어가 수학했다. 더불어, 모친은 윤두수의 현손녀이다.

현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3. 붕당

골수 서인이었으며, 또한 서인이 노론 소론으로 분당한 뒤에는 골수 노론이기도 했다. 또 민유중,[5] 김석주 등과 함께 삼척으로도 불렸다.

송시열의 문인이며, 기해예송 갑인예송에서 송시열의 뜻을 따르면서 서인의 과격파로서 남인의 의견에 강하게 맞섰다. 그의 딸이 세자빈이 된 뒤에는 병조참판과 예조참판을 지냈고 병조판서와 예조판서, 그리고 대제학을 지냈으며 숙종 즉위 이후 국구가 되면서 영돈녕부사로 임명되었고 훈련대장, 호위대장, 오위도총부도총관으로 군권까지 쥐었다. 경신환국 때 서인으로서 김석주, 김익훈, 이사명 등과 더불어서 옥사를 일으켜서 남인들을 많이 숙청했다.

4. 사후

죽은 뒤 경기도 시흥군 대야미리(현 군포시 대야미동) 산 1-12번지에 안장되었다.

경모재(敬慕齋)에 제향되었고, 1719년(숙종 45) 현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묘비명과 신도비문은 1687년 스승인 우암 송시열이 지었고, 글씨는 김진규가 썼다. 그밖에 숙종이 직접 써 준 어필비문(御筆碑)이 1699년(숙종 25)에 묘소 근처에 세워졌다. 사후 증직으로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 겸 홍문관 예문관 춘추관 성균관 관상감사에 추증되었다.

1992년 6월 5일 그의 묘소와 비석, 신도비는 경기도 기념물 제131호로 지정되었다.

5. 저서

《서석문집》 18권

6. 가족 관계

  • 증조부 : 김장생(金長生)
  • 종조부 : 김집(金集)
    • 조부 : 김반(金槃)
      • 백부 : 김익희(金益熙)
      • 숙부 : 김익훈(金益勳)
      • 부 : 광원군(光原君) 김익겸(金益兼)
      • 모 : 해평 윤씨(海平 尹氏) - 윤지[6](尹墀)의 딸
  • 부인 : 서원부부인 청주 한씨(西原府夫人 淸州 韓氏) - 한유량(韓有良)의 딸
    • 장남 : 광은군(光恩君) 김진구(金鎭龜, 1651년 ∼ 1704년)
    • 며느리 : 이광직(李光溭)의 딸
      • 손자 : 김춘택(金春澤)
      • 손자 : 김보택(金普澤)
      • 손자 : 김운택(金雲澤)
      • 손자 : 김민택(金民澤)
      • 손자 : 김조택(金祖澤)
      • 손자 : 김복택(金福澤)
      • 손자 : 김정택(金廷澤)
      • 손자 : 김연택(金延澤)
    • 차남 : 김진규(金鎭圭, 1658년 ~ 1716년)
      • 손자 : 김성택(金星澤)
      • 손자 : 김양택(金陽澤)
    • 장녀 : 인경왕후 김씨 - 조선 제 19대 왕 숙종의 정비
    • 3남 : 김진서(金鎭瑞, 1663 ~ ?)
    • 차녀 : 김한혜(金漢惠, 1668 ~ ?) - 정형진(鄭滎振)에게 출가
    • 3녀 : 김복혜(金福惠, 1673 ~ ?) - 연안 이씨 이주신(李舟臣)에게 출가
      • 외손자 : 영의정 이천보
      • 외손녀 : 심사주[8](沈師周)에게 출가
    • 4남 : 김진부(金鎭符, 1676 ~ ?)
      • 손자 : 김연택(金延澤) - 생부 김진구

[1] 윤지(尹墀)의 딸로 정혜옹주의 손녀. [2] 잠곡 김육의 절친이다. [3] 첫째 아들 김진구의 아들이다. [4] 김석주는 조부 김반과 친했던 김육의 손자이기도 하다. [5] 송시열의 문인이자 숙종의 두 번째 장인이다. [6] 정혜옹주의 장남 [7] 이단상의 종형 [8] 숙명공주의 남편 심익현(沈益顯)의 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