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0 08:59:35

막과자

그린푸드존에서 넘어옴

1. 개요2. 대한민국의 막과자
2.1.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3. 일본의 막과자
3.1. 목록
3.1.1. 과자&스낵&쿠키류3.1.2. 사탕&껌&엿류3.1.3. 초콜릿류3.1.4. 젤리류3.1.5. 떡류3.1.6. 가공 건어물&안주류3.1.7. 기타
4.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막과자

1. 개요

표준국어대사전 정의로는 '마구 만들어 품질이 떨어지는 과자'이나, 실제로는 품질의 좋고 나쁨과는 상관없이 크라운제과, 롯데제과, 오리온, 해태제과식품 등 대기업에서 만드는 과자와 대비되는 영세업체에서 만드는 저렴한 소포장 과자들을 일컫으며, 불량식품[1]이라는 이명으로 더 많이 불린다. 또한 일본어 '다가시(だがし, 駄菓子)'[2][3]의 번역어로 쓰인다.[4]

2. 대한민국의 막과자

대한민국에서 막과자의 이미지는 그야말로 시궁창이다. 30년이 훨씬 넘은 현재까지도 막과자는 아직도 불량식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것도 1970~1980년대도 아닌 2013년 4대 사회악으로 낙인 찍혀 2014년 이후에 문방구 판매가 전면 금지되었다. 그 이유는 당시 박근혜가 대선후보 시절 공약으로 내세운 4대 사회악 중에 불량식품 규제가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새학기가 시작되고 한 달이 다 돼가던, 2013년 3월 27일에 정부가 불량식품 규제 대책을 처음으로 내놨으며, 관련법을 개정해 2013년 하반기부터 시행할 계획이었지만 문구점 협회와 각종 단체들의 반발로 인해 논란을 빚으면서, 본격 시행까지의 시간이 다소 늦어졌다. # 결국 2014년 1월에 정부가 불량식품을 팔 시에 형법에 따라 처벌을 받도록 하는 강도 높은 처벌책을 내놓으면서 본격적인 규제가 시작되었다. # 다만 일부 지방의 경우 불량식품 규제가 본격화된 2014년 이후에도 초등학생들은 아직 불량식품을 간간히 사먹었을 것이다.[5]

식품공업이 태동하면서 차별화를 시도하였고, 대기업 중심의 제과유통이 자리잡으면서,[6] 이미지가 먹칠된 느낌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불량식품이라 인식되는 아폴로, 꾀돌이, 쫀드기 등은 식약처의 검사를 제대로 통과한 제품들이다.[7] 언론 등에서 불량식품이라는 단어 사용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서 그렇지. 이렇다 보니 이러한 과자들을 통칭할 수 있는 막과자라는 단어가 아예 잊혀진 수준이 되었다. 하도 불량식품이라고 많이 부르다 보니 '추억의 불량식품' 같은 웃지 못할 단어까지 나오기도 한다.

식품인데도 완구성을 가진 제품이 많다는 것도 막과자의 특징이다. 1990년대 중반까지 한국에서도 주로 문방구에서 취급했으며, 담배 파이프처럼 생긴 용기 안에 든 분말 과자를 다 먹고 나면 용기로 공 불어 띄우기 놀이를 할 수 있는 "후루룩", 과자 용기가 UFO처럼 생겼으며 용기에서 과자가 나오게 하는 것 자체가 게임이던 "비행접시" 등을 비롯해 수많은 완구형 막과자가 나타났다가 사라져갔다. 좀 평범한 것으로는 그냥 과자 포장 안에 장난감이나 스티커. 만화가 동봉된 제품들도 있었다. 이는 오늘날에도 식품완구라는 이름으로 남아 있으며, 맥도날드 해피밀 장난감도 그 후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밖에 네거리사탕, 후에라무네(휘파람사탕), 피져, 보석반지, 씨씨 등도 있다.

문방구에서 파는 100원, 200원짜리 과자가 불량식품인 경우가 많다. 예전에는 문방구 및 학교 근처 노점상 등에서 번데기, 고둥 등을 팔았고, 분식점이 아님에도 떡볶이, 오뎅 등을 팔았다. 또한, 설탕과 소다로 제조하는 달고나(뽑기, 국자)도 유명했다. 또한, 쫀드기 등은 연탄불에 구워먹기도 했다. 다만, 이 모든 행위 자체가 불법이었고, 제조 자체가 위생과 거리가 먼 상황이라 자주 단속되곤 했다.

빨대 과자 아폴로의 경우 엄연히 식품의약품안전처 감독 및 허가 하에 제조되므로 불량식품이 아니다. 오죽하면 불량과자로 부르지 말아 달라는 내용이 몇 번이나 TV에서 방영된 바 있었을 정도. 대중의 인식 때문에 불량식품도 아닌데 종종 검사를 받기까지 했다고 한다. 생산 중단된 기간 동안 아팟치가 그 명맥을 이어갔으며 이후 재생산되며 색채가 화려한 아폴로도 간간히 보인다. 맛은 예전과 다르고 사이즈가 약간 크며, 투명한 빨대모양 플라스틱 용기에 담겨있다.

쫀드기 역시 더 이상 불량식품이 아니게 되었으며, 2006년에는 TV 광고까지 방영했다.

주로 개발도상국에서 건너온 싸구려 과자들이 이 자리를 갈음하고 있다.

알고 보면 조선 시대 이전에도 존재했던 음식들이 불량식품 항목에도 다수 포진해 있다. 옥춘당, 호박엿을 비롯한 각종 엿, 약과 등이 이 카테고리에 해당된다. 이런 과자들은 제대로 위생 허가를 받은 공장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고 소규모 공방이나 가내 수공업에 가까운 형태로 만들어지다 보니 이렇게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2014년 4대악 척결 정책으로 인한 불량식품 규제 시행으로 인해 문구점에서 막과자를 판매할 수 없게끔 되어서 학교 앞 문구점에서 사 먹는건 어렵게 되었다. 잘 찾아보면 아직까지 불량식품을 파는 곳이 일부 있긴 하지만 일부에 그치는 수준이지만 정 불량식품을 사먹고 싶다면 인터넷에서 주문하거나 인사동길에서 사 먹는 방법이 있다. 인터넷이 아니면 먼 산속 시골 마을에서 수퍼마켙 분위기가 나는 가게를 찾는 방법도 있다.[8][9]

그래도 다행히 그 이후로 인식이 다소 개선되어, 불량식품이란 이름으로 불리던 막과자들이 2020년대 이후로는 무인 아이스크림 매장을 중심으로 판매가 이루어지며 다시금 명맥을 잇고 있다.

2.1.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이런 식품들이 학교 앞에서 판매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생긴 제도로 그린푸드존이라고도 부른다. 2009년 3월 22일부터 정식 시행되었으며 학교 내 및 해당 학교의 경계선으로부터 직선거리 200미터의 범위 안에 지정하여 그 범위 안에서는 고열량이나 저영양 등의 식품을 판매할 수 없으며 이를 위반할 시 과태료처분을 받게 된다.


하지만 법적으로 되어 있는 뿐, 실제로는 그린푸드존 안에서도 고열량이나 저영양 식품 등의 식품을 파는 문방구나 가게가 많으며 이를 단속해야 하는 지방자치단체 역시 손을 놓고 있어 실효성 논란이 많다. 제도가 정식 시행되는 2009년 3월 22일부터 2018년까지 단속 건수는 단 한번도 없을 정도로 거의 사문화 수준으로 전락했다. 사실 막과자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60~70년대 열악했던 공장 환경으로 인해 위생이 좋지 못했던 것이 큰 문제였고 90년에도 비위생적인 식품들이 남아있었으나, 이미 시대는 바뀌어서 시판되는 막과자들은 HACCP 안전관리인증을 취득한터라 먹어도 딱히 문제될 것이 없었다.

2013년도에도 성폭력, 학교폭력, 가정폭력, 불량식품을 4대 악을 규정하고 본격적으로 단속에 들어갔으나 앞서 말했듯 이미 공장의 위생기준들은 충족한 상태이고 식품안전인증도 제대로 받아두었고, 문제가 되었을 구멍가게나 문방구들은 거의 다 사라지다시피 한 상황인지라 막과자들의 판매처는 진작에 옮겨지거나 확산되어 편의점이나 다이소 같은 기업에서도 버젓히 판매되고 있었기 때문에 그다지 의미 있는 상황은 아니었다. 이를 통해 막과자들의 불량식품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은 꽤 오랫동안 이어져왔음을 알 수 있으며 사람들의 부정적인 인식과 현실과의 괴리로 인한 해프닝이라고 볼 수 있다.[10]

3. 일본의 막과자

일본에서는 막과자를 주로 파는 가게를 다가시야라고 부른다. 막과자에 대한 인식은 대한민국과 별반 다르지 않지만 일본 가업문화의 특성상 막과자 가게가 몇 대째 전통으로 내려온다든가 아예 전문적으로 이쪽 방면으로 나아가는 기업이 있는 등 제대로 된 전통문화 정도로 인식되고 있다. 여기에 여타 아시아 국가들과 다르게 패전 이후로 지방분권적인 분위기가 이어져 와 지역문화가 비교적 잘 보존된 영향으로 다가시 문화가 제대로 정착할 수 있었다. 일본 만화 다가시카시는 막과자를 소재로 다룬 만화다.

일본도 이런 불량식품이 존재하며 과자의 느낌이 대한민국과 비슷하다. 일본 불량식품과 느낌이 비슷할 수밖에 없는 것이 과거 일본의 과자들을 따라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심지어는 파는 가게까지 분위기가 비슷한데, 보통 일본에서의 다가시야의 위상은 20세기 후반에 대한민국의 문구점이 지녔던 위상과 놀랍도록 흡사했다. 과장되게 말하면 업종의 주어 차이 수준. 심지어 문방구 게임기같은게 설치된것 까지도. 다가시야에서 팔법했을 물건들은 복고풍 물건을 판매하는 상점에서도 볼 수 있으며, 일본의 추억팔이 단골 레파토리중 하나이기도 하다.[11]

3.1. 목록

3.1.1. 과자&스낵&쿠키류

  • 센베이 - 일본의 대표적인 전통 과자. 오래된 전통 과자인만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자세한 건 항목 참조.
  • 우마이봉 - 1979년부터 출시된 일본의 대표적인 과자 중 하나. 자세한 건 항목 참조.
  • 베이비스타 - 1959년부터 출시된 라면 과자. 국내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자세한 건 항목 참조.
  • 후가시 - 밀기울로 만든 흑당 막대 과자. 스펀지같으면서도 파삭한 식감이 특징이다. 흑설탕으로 코팅을 해서 굉장히 달다. 묘하게 식감이나 맛이 유과같다.
  • 앙코타마 - 구슬처럼 동그랗게 뭉친 앙금에 콩가루를 범벅한 과자. 팥을 뭉쳐서 만들었기 때문에 유통기한이 다른 다가시들에 비해 비교적 짧은 편이다.
  • 모치타로 - 이름 그대로 떡을 구워만든 스낵류 과자. 맛은 짭짤한 쌀과자맛과 유사하다.
  • 톤가리 - 아이스크림의 모양을 흉내낸 과자. 콘 안에 있는 크림은 크림이라기보단 젤라틴에 가깝다.
  • 닌진 - 이름처럼 당근모양 봉지안에 튀긴 쌀알 과자가 들어있다. 맛은 그냥 달달한 쌀튀밥이다.
  • 돈돈야키 - 타코야키/오코노미야키 소스맛이 나는 새콤하고 짭짤한 스낵. 먹다보면 땅콩 조각이 나오기도 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김치맛도 파는 모양이다.
  • 포테토 스낵 - 이름처럼 감자 스낵이지만 감자칩맛은 딱히 나지 않는다. 겉에 시즈닝이 많이 묻어 있고 매우 짭짤한 맛이 특징이다. 과자가 꽤 얇고 가벼운 편이라 부서지기 쉽다. 콘소메, 카레, 스테이크 등 다양한 맛이 존재한다.
  • 텍사스콘 - 가볍고 바삭바삭한 옥수수 스낵. 원조인 타코야키맛을 비롯해 오코노미야키, 콘포타쥬, 피자, 후라이드 치킨 등 다양한 맛이 존재한다.
  • 카메센

3.1.2. 사탕&껌&엿류

  • 가루메야키 - 설탕을 가열하여 만드는 과자. 국내에서는 일본식 달고나라고도 불린다. 다만 재료와 방식은 대한민국의 달고나와 상당히 다르다.
  • 닛키카이 - 진짜 조개 껍데기 안에 계피향 사탕이 들어있다. 물엿, 설탕 및 계피향을 첨가하였다. 상당히 딱딱한 편이며 먹기가 좀 번거로운 편이다. 달콤하면서도 계피의 은은한 알싸함이 느껴진다.
  • 네루네루네루네
  • 마루가와 버블껌 - 국내에서도 제법 유명한 과일향 버블껌. 자세한 건 항목 참조.
  • 시가렛 - 담배 모양의 과자. 케이스도 담배 갑과 매우 유사하다. 옛 시절 일본의 어린 아이들이 이 시가렛을 물고 담배피는 흉내를 내기도 하였다고 한다. 오래된 과자답게 다양한 맛이 존재하는데 그중 코코아맛이 가장 유명하다. 한때 국내에서 영세 기업에서 만든 유사 제품이 판매된 적이 있었으나 흡연 모방 우려로 판매 중지되었다.
  • 카멜레온 라무네 - 한가지 색의 사탕이 들어있지만 입안에 넣으면 코팅이 녹으면서 색깔이 바뀌고 맛도 바뀐다.
  • 키나코봉 - 흑설탕 덩어리 혹은 물엿에 콩고물을 범벅한 뒤 꼬치에 꽂은 과자. 맛은 콩가루 엿과 흡사하나 좀 더 카라멜같은 식감이 난다. 굉장히 꼬숩하고 달달한 맛이 특징이다.
  • 모로코 요구루 - 요거트향이 나는 새콤달콤한 크림. 코끼리 발모양의 용기가 대표적이라 패키지에 코끼리 그림이 그려져있다. 뚜껑마다 색이 다른데 맛은 전부 똑같으며 삼립의 크림빵 속 크림처럼 설탕이 녹지 않아 식감이 사각사각하다. 거의 맛도 똑같다.

3.1.3. 초콜릿류

  • 초코밧토
  • 무기초코
  • 나가이 초코렛
  • 하이에이트 초코렛

3.1.4. 젤리류

3.1.5. 떡류

  • 키비당고

3.1.6. 가공 건어물&안주류

  • 캇토 욧짱 - 식초에 절인 뒤 먹기 좋게 저민 조그만 오징어 간식. 쫄깃하며 시큼한 맛이 특징이다. 마찬가지로 안주용으로 제법 유명한 간식이다.
  • 마요타라 - 같이 동봉되어 있는 마요네즈 소스를 뿌려먹는 어포 간식.
  • 빅카츠 - 얇은 어육에 빵가루를 입히고 튀겨낸 뒤 그 위에 돈까스 소스를 얹은 돈까스 모양의 간식. 은은한 카레향에 값싼 분쇄육 돈까스같은 맛이 나는데 이게 은근히 중독성이 있어 안주로도 인기가 제법 좋다.
  • 카바야키상타로(蒲焼さん太郎) - 어포[12]에 장어구이 소스를 바른 장어구이풍의 어포다. 이걸 장어구이 소스를 비빈 밥 위에 얹어서 유사 장어덮밥으로 먹는 사람들도 있다.

3.1.7. 기타

  • 사쿠라다이콘 - 새콤하게 절인 무 조각. 은근히 중독성있다고 한다.
  • 우메잼 - 이름 그대로 절인 매실의 짭짤하고 시큼한 맛이 나는 잼.
  • 아메리칸 콜라 - 콜라향이 나는 탄산 분말 주스. 일반적인 콜라와는 다른 묘한 맛이 난다.

4.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막과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길거리에서 허가를 받지 않고 조리를 하여 판매되는 식품을 일컫는 말이지만, 과거 비위생적인 무허가 제조시설에서 싸구려 막과자들이 제조, 유통되었던 인식 때문에 세간에서는 막과자를 싸잡아 불량식품이라고 잘못 부르기도 한다. [2] 저급한 과자라는 의미로 패전 후 화과자를 뜻하는 조가시(上菓子)와 대비되는 말로 쓰이고 있다. [3] 라는 한자는 일본어에서 뭔가 싣는다는 의미 외에 '변변치 않은'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접두어로도 쓰인다. 한국어에서는 후자의 의미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4] 우리나라에서도 막과자라는 말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1970년대에 쓰여진 관촌수필을 보면 사용례가 나온다. [5] 그리고 2014년에도 초등학교 1학년생을 제외하면 규제 이전에 초등학교를 다녀서 불량식품을 먹은 적이 있었다. [6] 실제로 1980년대만 해도 중소기업 제과회사들의 제품이 많았었다. 물론 대기업에서 출시한 제품의 미투상품들도 수두룩했다. [7] 문방구에서 팔던 '불량식품' 중에는 값이 싼 수입산일 뿐인 과자가 많다. 문방구에서 파는 음식=불량식품이라고 누명 쓴 수입과자가 태반. [8] 근데 말이 그렇지 요즘에도 학교 옆 문구점엔 웬만하면 아주 잘 구비되어있다. 2010년대 들어서는 영세 문방구가 사라지고 대형매장 위주로 재편되면서 수입과자 가게에서 주로 진열되고 있다. [9] 동시기부터 문구들은 대형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추세이다. [10] 다만, 이러한 법적 제도를 만든 자들의 인식이 낡았다보기에는 근본적으로는 상황변화가 너무 빨랐던 것이 이러한 해프닝의 근본적인 문제라고 보는 것이 정확할 것이다. 00년도까지만 해도 문방구에 비위생적인 식품과 안전 기준은 저리 날아간 장난감들이 판매되고 있었는데 고작 10년만에 문방구들은 사라져가고, 살아남은 막과자들은 진작에 인증까지 다 받아놓는 등 상당수의 문제가 해결 된 상황이었으니 말이다. 또한 막과자들이 이전처럼 열악한 환경이 아닌 편의점, 다이소 같은 대기업에서 대중들에게 소비되고 있다보니 막과자의 인식도 꽤나 좋아진 것도 있다. [11] 레트로 게임 실황 방송 프로그램인 게임센터 CX에서도 매 회마다 이런 추억의 게임이 있는 오락실이나 문방구 등을 찾아가고, 동 기획의 연장선에서 한국 용산전자상가나 문방구 등 방문도 했다. [12] 월드컵 어포 처럼 분쇄어육으로 만든 어포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