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30 01:51:05

각시붕어

각시붕어(꽃붕어)
Korean Rose Bitterling
파일:각시붕어.jpg
학명 Rhodeus uyekii
Mori, 1935
분류
<colbgcolor=#ffcc6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기어강(Actinopterygii)
잉어목(Cypriniformes)
잉어과(Cyprinidae)
아과 납자루아과(Acheilognathinae)
납줄개속(Rhodeus)
각시붕어(R. uyekii)


1. 개요2. 생태3. 관상어로서4. 근연종들

[clearfix]

1. 개요

잉어과(Cyprinidae) 납자루아과 납줄개속에 속한 한국 토종의 담수어. 이름이 비슷한 버들붕어 붕어와 이름이 비슷해 비슷한 종류라고 생각도 하지만 관계는 상당히 멀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서 본 문서의 각시붕어를 버들붕어로 부르거나, 버들붕어를 각시붕어로 부르는 등 명칭이 혼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2. 생태

보통 4 ~ 5 cm, 최대 8cm 이하로 자란다. 연못이나 물살이 약한 곳에 주로 서식하며 같은 속에 속하는 떡납줄갱이 흰줄납줄개와도 많이 섞여산다. 봄에 산란하는 춘계산란종의 특성과 유사하다.[1]

여기까지의 설명만 보면 반도의 흔한 민물고기처럼 보이나 이 녀석의 특이한 점은 민물 조개[2] 안에 알을 낳는다는 것. 납자루아과의 물고기들은 이런 생태를 지니고 있다. 수컷은 조개 하나를 맡아 자리를 틀고 다른 수컷이 다가오면 쫓아내며 암컷을 유혹한다. 암컷은 산란관이 길게 늘어지며 마음에 드는 수컷을 골라 그 수컷이 지키는 조개의 출수공에 알을 낳고( 도킹) 수컷이 거기에 방정하여 번식한다. 이 때 조개는 자신의 종패를 각시붕어의 몸에 붙여서 종자를 퍼뜨리기에 상리공생인 셈이다.[3] 조개는 이후 치어가 홀로 헤엄쳐서 먹이를 먹을 때까지 인큐베이터 역할을 한다. 다른 민물고기들에게 이러한 번식 사례는 드물기에 생태학적으로 매우 귀중한 물고기이다.[4]

맛은 그다지 좋지 않다고 한다.[5] 연구에 따르면 암컷은 붉은 색이 강한 수컷을 선호하는 듯하다. 기생충 내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6]

3. 관상어로서

크기가 작고 귀여우면서도 은은한 파스텔톤이 아름다우며, 번식기에는 웬만한 열대어를 쌈싸먹는 화려한 혼인색을 보여주어 관상어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 하술할 묵납자루 역시 일본에서 먼저 관상어로 개량한 종류. 국내 특산종들의 가치를 알아보는 눈과 마음이 절실할 뿐이다.

사육수조와 산란수조를 구분하여 기르는 것이 좋다. 사육수조를 만든다면 바닥재는 어느 것이든 좋으나 너무 짙거나 너무 밝은 색 바닥재는 각시붕어의 발색을 반감시킬 수 있다. 돌 틈에 숨는 행동을 하므로 큰 돌들을 여러 개 놓고 수초 유목으로 숨는 공간을 마련하여 안정감을 주면 좋다. 수조 용량에 맞추어 적당한 수를 키우는 것이 좋으며 수가 너무 적으면 숨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적절히 기르도록 해야 한다.[7]

어항에 익숙해지면 사람 손만 보여도 모이고 손을 어항에 넣으면 툭툭 쪼면서 먹이를 보챈다. 그리고 인공 먹이 순치가 엄청나게 쉽다. 입에 들어올 만한 물건 중 식용 가능한 것은 다 먹는다. 심지어는 물고기 전염병 치료용 가루약도 계속해서 먹었다 뱉었다 할 정도.

번식은 광주기와 수온의 영향을 받는다. 24도 이상에서는 번식이 잘 되지 않으며, 13시간 정도 빛을 받는 쪽이 좋다.[8]

잉어과가 다 그렇듯이 솔방울병에 잘 걸린다. 어항 크기 한 자에 소금 한 숟가락 정도를 타면 어느 정도 예방한다.

4. 근연종들

아래에 기술하는 물고기들은 우리나라에서 분포를 확인한 잉어과 납자루아과에 속한 물고기들이며 모두 민물조개에 알을 낳는다. 현재 국내에 분포하는 납자루아과의 물고기는 북한에 서식하는 납줄개와 멸종한 서호납줄갱이를 포함해 납줄개속(Rhodeus), 낙동납자루속(Tanakia)[9], 납자루속(Acheilognathus) 등 3속 16종이다.

4.1. 납줄개속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납줄개속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낙동납자루속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낙동납자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납자루속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납자루속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안철민. 1995. 각시붕어, Rhodeus uyekii의 생식주기에 미치는 광주기 및 수온의 영향. [2] 말조개 펄조개, 대칭이 등의 큼직한 이매패류. 재첩에는 알을 낳지 않는다. [3] 다만 조개 입장에선 납자루가 아니라 미꾸라지 등의 저서어종에게 유생을 붙여도 상관이 없기에 편리공생일 수도 있다. 실제로 조개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으면 알을 받기를 거부하고 숨거나 알을 다시 뱉어내기도 한다(...). [4] 중고기가 조개를 이용해 번식하는 또다른 종류이다. [5] 지학사 컬러학습대백과에서 발췌 [6] 전형배, 석호영. 2012. 한국산 각시붕어 수컷의 혼인색과 암컷의 배우자 선택 [7] 백윤하, 이상헌. 2008. 은은한 색채의 미학 우리 민물고기 [8] 안철민. 1995. 각시붕어, Rhodeus uyekii의 생식주기에 미치는 광주기 및 수온의 영향. [9] 가시납지리속(Acanthorhodeus)은 납자루속(Acheilognathus)간 차이가 크지 않아 별개의 속인지 불분명하며, 국내에서는 별개의 속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Tanakia속은 현재 대한민국 어류학계 주류에선 인정하지 않는 상태이나, 낙동납자루는 처음 신종으로 발표될 때부터 Tanakia속으로 발표되었고 현재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생물종목록에 Tanakia속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리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선 아직 공식적으론 Tanakia 속엔 낙동납자루 밖에 속해있지 않으나 일본을 비롯한 해외에서는 현재 Tanakia속은 인정하고 있는 추세고, Tanakia속엔 해당 속의 대표라 할 수 있는 납자루를 비롯해 우리나라의 칼납자루와 과거 동종으로 여겨졌던 일본칼납자루(T. limbata) 등을 포함되어 있는 상태다. 또한 해외에선 Tanakia(납자루) 속에 우리나라의 납자루, 묵납자루와 칼납자루, 임실납자루 등도 포함된다고 보고있어 여러모로 종들의 위치가 불명확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