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MANI 시리즈의 수록곡에 대한 내용은 朧(BEMANI 시리즈) 문서
, 이 글자와 모양이 같은 한자에 대한 내용은
𦢫
문서
참고하십시오.
朧 몽롱할 롱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月, 1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20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ロウ
|
||||||
일본어 훈독
|
おぼろ
|
||||||
胧
|
|||||||
표준 중국어
|
ló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朧은 '몽롱할 롱'이라는 한자로, '몽롱(朦朧)하다', '흐릿하다' 등을 뜻한다. 그래서 '흐릿할 롱'이라고도 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6727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BYBP(月卜月心)로 입력한다.뜻을 나타내는 月(달 월)과 소리를 나타내는 龍(용 룡)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달 월(月)로 쓰인 변은 육달월(肉→月)이 아닌 그냥 달월이다. 흐릿하다, 어슴푸레하다는 뜻이지만, 달을 가리킬 때는 기이하게도 환하다, 밝다는 뜻으로 쓰인다. 그래서 중국 고서적에서 농월(朧月)이라고 하면 휘영청 밝은 달을 뜻한다. ( #) 한자는 이처럼 사람들 뒤통수 때리는 의미나 용법으로 사용될 때도 있어서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朧月이란 단어를 (구름 등에 가려서) 어슴푸레하게 보이는 달이란 뜻으로 사용한다. 아마 朧이란 한자의 1차적인 의미 때문에 일본인들이 거기에 끌려 해석했을 것이다.
𦢫[⿰⺼龍](살찐모양 롱)과는 전혀 다른 글자이다. 본래 肉(고기 육)과 龍(용 룡)으로 이루어진 글자였는데 肉이 月로 변하면서 모양이 같아져버린 일종의 거짓짝이라고 볼 수 있다.
月이 왼쪽에 오는 한자 중에서는 朦(흐릿할 몽)과 더불어 드물게 육달월이 아닌 달 월이 부수인 한자이면서 月의 본래 의미와 관계가 있는 한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龖(나는용 답)
- 礲/ 鑨(갈 롱)[3]
- 䏊(귀먹을 롱)[4]
- 櫳(난간 롱)
- 䡁(단정치못할 롱)
- 𩟭[⿰𩙿龍](떡 롱)
- 䪊(말굴레 롱)
- 嚨(목구멍 롱)
- 儱(미숙한모양 롱)
- 襱(바짓가랑이 롱)
- 壠(밭두둑 롱)[5]
- 𦪽[⿰舟龍](배이름 롱)
- 䆍(벤벼 롱)
- 𢤱[⿰忄龍](사나울 롱)
- 巄(산험준한모양 롱)
- 𦢫[⿰⺼龍](살찐모양 롱)
- 曨(어스레할 롱)
- 隴(언덕 롱)
- 瓏(옥소리 롱)
- 瀧(젖을 롱)
- 攏(쥘 롱)
- 𪐖[⿰黍龍](차질 롱)
- 𨏠[⿰車龍](차축끝 롱)
- 豅(크고긴골 롱)
- 贚(가난할 룡)
- 蠬(개미 룡, 벌 롱)
- 爖(불모양 룡)
- 徿(비틀거릴 룡)
- 躘(어린애걸음 룡)
- 矓(흐릴 룡)
- 䮾(충실한모양 봉, 짐무거운모양 룡)
- 䌬(곧을 중/종)
- 𨳁[⿰镸龍](곧을 총)
- 𫲘[⿰女龍](룡)
- 𱜼[⿰巾龍]
- 𤜆
- 𤳽[⿰田龍]
- 𧲖[⿰豕龍]
- 𮙇[⿰言龍]
- 𱇈[⿰魚龍]
6. 기타
-
원산지가
멕시코의 Tamaulipas인 다육식물이 있다. 일본은 이 식물을 朧月(농월)로 표기하고, 중국은 石蓮花(석연화)로 표기하며, 영어권은 Ghost plant라 부른다. 그런데 농월이라는 한자가 있음에도, 한국에서 알 수 없는 이유로 용월이라 불린다. 朧와 龍을 혼동한 걸로 추정된다.
대만산 고전게임 환세록에서 朧月이란 이름의 최강의 활로 등장하는데, 역시나 한국어판에서 '용월'로 옮겼다.